뉴스 > 기자수첩
[데일리 Talk] 선관위 부정선거 진상 규명 의지 있나
▲ 장혜원 정치사회부 차장대우
6월 조기 대선을 앞두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부정선거 진상 규명 끝까지 간다며 ‘부정선거 음모론 대응 전담반’을 신설했다. 노태악 중앙선거관리위원장은 부정선거론을 정면 반박하며 “수많은 부정선거 소송이 대법원에서 근거 없다고 밝혀졌음에도 계속되는 이런 주장에 안타까운 심정”이라고 밝혔다. 노 위원장이 언급한 ‘대법원 판결문’에 대해 부정선거 의혹을 가장 적극 제기해 온 종합일간지는 스카이데일리이다.
  
그럼에도 선관위는 본지의 10일 시연회 취재 신청을 불허했다. 선관위 시연회 소식이 전해진 8일, 기자는 복수의 제보자에게서 받은 부정선거 의혹 제기 자료를 정리했다. 유선상 질의만 가능했고, 사실상 대면 질의가 봉쇄된 것이나 다름없었던 터라 오프라인 시연회를 개최한다는 것은 매우 반가운 소식이었다.
 
준비 자료에는 4월2일 시행된 재보궐 선거 투표참관인을 통해 모처에서 직접 받은 ‘화웨이 와이파이가 사용되고 있는 개표장’ ‘봉인지 잔류 표시가 남지 않는 특수 봉인지가 붙은 투표함’ ‘낮은 투표율에도 불구하고 사라진 잔여 투표지 묶음’ 등에 대한 자료를 비롯해 윤 대통령 탄핵 심판 당시 헌법재판소 앞에서 만난 복수 제보자에게서 받은 부정선거 의혹 제기 자료가 포함됐다.
 
제보자들은 12.3 계엄령의 근거였던 ‘부정선거 척결’을 주장하기 위해 전국에서 서울 종로구 헌재 앞으로 모였으며, 이후 기자의 명함을 확인 후 자료를 전해 주고 갔다. “스카이데일리에서 꼭 선거 관리 부실에 관한 진실을 확인해 달라”고도 했다. 부정선거 의혹 제기를 하는 이들은 다른 레거시 미디어가 아닌 ‘스카이데일리’의 관련 보도에 계속해서 신뢰를 갖고 있다.
 
특히나 ‘부정선거 의혹 정면 돌파’를 근거로 한 시연회였기 때문에 출입이 불허될 것이라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다. 선관위 공보과는 스데의 취재 신청에 곧바로 전화를 걸어 와 “장소가 협소하다”는 이유로 불허 통보를 했다. 이어진 여러 차례의 전화와 설득에도 종합일간지를 ‘인터넷 매체’라고 언급하는 선관위 관계자는 “선관위 앞 시위가 많아 보안에도 문제가 된다”는 발언까지 했다. 이는 경기도 과천시 선관위 청사 앞에서 연일 열리는 부정선거 척결 집회가 스데의 내부 부정선거 시연회 취재와 연결된 것으로 비친다는 전제가 붙은 발언으로 해석됐다.
 
2020년 총선 이후 햇수로 6년 동안 본지는 흔들림 없이 부정선거 의혹 제기를 일관적으로 해 왔으며 ‘형상기억 종이·일장기·배춧잎 투표지’에 이어 ‘투표지 분류기 해킹 및 가짜 투표지 삽입’ ‘전산 투표 조작’ ‘위조 투표지와 바꿔치기’ ‘투표 관리에 중국인 개입설’ ‘A-WEB을 비롯한 부정선거 국제 카르텔’ 등을 공론화했다. 
 
황교안 전 총리·민경욱 전 미래통합당 의원·부정선거방지대(부방대) 등과 함께 4.15 총선 관련 선거 소송 126건을 취재했다. 이의 기각 및 각하 판결 결과의 부당성을 논한 것도 국내 매체 중 본지가 거의 유일했다. 2022년 출범한 부방대와 함께 전국 각지에서 선거가 있을 때마다 감시를 하고 의혹 제기를 적극적으로 해 온 매체도 스카이데일리이다.
 
12.3 비상계엄 이후 전국적 관심을 받은 본지는 최근 부정선거 관련 복수 제보에 의한 보도를 했다는 이유로 선관위에 의해 형사고발을 당했으며 9일에는 경찰의 압수수색까지 받았다. 
 
헌법재판소는 최근 헌법 심판을 통해 선관위를 감사원이 감사할 자격이 없다 했으며, 윤 대통령이 제기한 부정선거 의혹은 실체가 없다고 했다. 이와 함께 선관위를 직격해 비상계엄을 선포한 최고 권력인 윤석열 대통령은 내란 수괴로 몰려 탄핵을 당했다. 계엄군을 투입한 국방부 장관을 비롯한 장성급 군인들은 모조리 수감되어 재판에 넘겨졌다. 합법적 견제가 완전히 불가능하다는 것이 증명된 셈이다.
 
성역 중의 성역이 된 선관위가 부정선거 의혹을 퍼뜨렸다며 직접 고발한 매체에 대해 시연회조차 취재를 불허한 것이다. 부정선거의 진상을 어떤 방식으로 규명하겠다는 것인지 정말로 이해가 되지 않는다.
 
윤석열 대통령은 대국민 메시지를 통해 “칼에 찔린 사망자가 있어도 살인자를 규명 못 해 살인죄가 성립 안 된다”는 식의 판결을 내린 대법원 판결문을 직격했다. 해당 판결문을 성서처럼 떠받드는 레거시 미디어하고만 소통겠다는 선관위의 저의가 무엇인가. 선관위의 이런 태도는 부정선거에 대한 의혹을 더 키울 뿐이다. 국민들이 이번 시연회를 짜고 치는 고스톱 판이라고 비판한다면 그 책임은 오로지 선관위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후원하기
  • 정기 후원
  • 일반 후원
  • 무통장입금: 하나은행 158-910019-39504 스카이데일리
  • 스카이데일리는 온라인 판 스카이데일리닷컴과 32면 대판으로
    매일 발행되는 일간종합신문 스카이데일리(조간)를 통해 독자 여러분들과 만나고 있습니다. 후원자 분들께는 지면광고를 하고자 하실 경우
    특별 할인가격이 제공됩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해요
25
좋아요
7
감동이에요
4
화나요
7
슬퍼요
1
댓글 : 2
오늘자 스카이데일리
주요 섹션 기사
주소 : 서울 특별시 중구 새문안로 26(충정로1가, 청양빌딩) 7층 | 전화 : 02-522-6595~6 | 팩스 : 02-522-6597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시 아01703, 등록일 : 2011년 7월 18일, 발행·편집인: 민경두, 편집국장: 박용준
사업자 번호 : 214-88-81099 후원계좌 : 158-910019-39504(하나은행)
copyrightⓒ2011, All rights reserved. Contact : skyedaily@skyedaily.com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박선옥